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1차 세계 가난한 이의 날 담화 (2017년 11월 19일, 연중 제33주일) 말이 아닌 행동으로 사랑합시다
1. “자녀 여러분, 말과 혀로 사랑하지 말고 행동으로 진리 안에서 사랑합시다”(1요한 3,18). 요한 사도의 이 말씀은 그리스도인이라면 그 누구도 무시할 수 없는 책무에 관한 목소리입니다. 그 “사랑하시는 제자”가 우리 시대에 전하는 예수님의 명령의 중대성은 우리 입에서 흔히 나오는 ‘빈말’과 ‘구체적 행동’의 대비로 더욱 명확해집니다. 그리고 우리는 행동으로써 우리 자신을 평가하도록 부름받았습니다. 사랑에는 알리바이가 통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예수님께서 사랑하신 것처럼 사랑하려면, 특히 가난한 이들을 사랑하려면 예수님의 모범을 따라야 합니다. 성자께서 보여 주신 사랑의 길은 잘 알려져 있고 요한은 이를 분명하게 설명합니다. 그 기초는 두 개의 축입니다. 하느님께서 먼저 우리를 사랑하셨습니다(1요한 4,10.19 참조). 그리고 그분께서는 우리를 위하여 당신 목숨을 내놓으실 정도로 우리를 사랑하시어 당신을 온전히 내어 주셨습니다(1요한 3,16 참조). 우리는 이와 같은 사랑에 응답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보답을 바라지 않으시고 거저 주신 그 사랑을 받은 사람은 모두 자기 한계와 죄가 있음에도 그 사랑을 갚으려는 마음이 불타오릅니다. 이는 우리가 하느님의 은총과 그 자비로우신 사랑을 온 마음으로 기꺼이 받아들여 우리 의지와 감정이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으로 이끌릴 때에 가능합니다. 이처럼 우리는 성삼위의 마음에서 흘러나오는 자비의 감도를 받아, 가난한 우리 형제자매에게 연민의 마음으로 자비의 활동을 실천할 수 있게 됩니다. 2. “여기 가련한 이가 부르짖자 주님께서 들으셨네”(시편 34,7[6]). 교회는 언제나 이 부르짖음의 중요성을 인식해 왔습니다. 이에 관한 탁월한 증언이 사도행전의 앞부분에서 확인됩니다. 여기서 베드로는 가난한 이들을 돌보는 직무를 맡기도록 “성령과 지혜가 충만한”(6,3) 사람 일곱을 찾아 달라고 요청합니다. 이것은 분명 그리스도인 공동체가 온 세상으로, 곧 가난한 이들을 섬기려고 나아가는 첫 표징들 가운데 하나입니다. 가난한 이들은 ‘행복하다’.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다(마태 5,3 참조). 이 모든 것은, 이러한 주님의 주요 가르침을 따른 초기 공동체가 예수님의 제자 직분은 형제애와 연대를 드러내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그들은) 재산과 재물을 팔아 모든 사람에게 저마다 필요한 대로 나누어 주곤 하였다”(사도 2,45). 이 말씀에서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관심이 생생하게 표현되었음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루카 복음사가는 다른 어떤 것보다 자비에 관하여 이야기하며 초기 공동체의 나눔 실천을 과장 없이 묘사합니다. 한편 복음사가가 우리를 비롯한 모든 세대의 신자들에게 전하는 말은, 우리가 지속적인 증언과 행동으로 가장 가난한 이들에 대한 보살핌을 실천하도록 북돋아 주려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 또한 같은 확신을 가지고 그의 서간에서 이렇게 단언하며 동일한 메시지를 전합니다. “나의 사랑하는 형제 여러분, 들으십시오. 하느님께서는 세상의 가난한 사람들을 골라 믿음의 부자가 되게 하시고, 당신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약속하신 나라의 상속자가 되게 하지 않으셨습니까? 그런데 여러분은 가난한 사람을 업신여겼습니다. 여러분을 억누르는 사람들이 바로 부자가 아닙니까? 여러분을 법정으로 끌고 가는 자들도 그들이 아닙니까? … 나의 형제 여러분, 누가 믿음이 있다고 말하면서 실천이 없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그러한 믿음이 그 사람을 구원할 수 있겠습니까? 어떤 형제나 자매가 헐벗고 그날 먹을 양식조차 없는데, 여러분 가운데 누가 그들의 몸에 필요한 것은 주지 않으면서, ‘평안히 가서 몸을 따뜻이 녹이고 배불리 먹으시오.’ 하고 말한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이와 마찬가지로 믿음에 실천이 없으면 그러한 믿음은 죽은 것입니다”(2,5-6.14-17). 3. 그리스도인들이 이러한 호소를 충분히 귀여겨듣지 않고 세속적인 사고방식을 따를 때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성령께서는 본질만을 눈여겨보라고 끊임없이 우리를 부르십니다. 성령께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가난한 이들을 돌보는 데 자기 삶을 바친 사람들을 격려하여 주십니다. 이천 년 이상 이어져 온 역사의 수많은 기록들은, 소박하고 겸손하며 너그럽고 창조적인 사랑으로 가장 가난한 형제자매들을 돌보는 그리스도인들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아시시의 프란치스코는 가장 탁월한 모범을 보여주었으며, 수 세기 이상 다른 많은 성인이 이를 본받아 왔습니다. 성인은 나병 환자들을 ‘품어 안고 구호하는’ 데 만족하지 않고, 구비오로 가서 그들과 ‘함께 머물기’로 결심하였습니다. 그는 이러한 만남이 회심을 위한 전환점임을 알았습니다. “제가 죄 안에 있을 때는 나병 환자들을 만나는 것을 싫어했습니다. 그런데 주님께서 몸소 저를 그들에게 이끌어 주시어 그들에게 자비를 베풀 수 있었습니다. 제가 그들을 떠나게 되었을 때는 제가 싫어하던 그 일이 몸과 마음을 채우는 기쁨으로 바뀌어 있었습니다”(
|